정보처리기사

[정처기]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feat.공부법)

devlog93 2024. 8. 7. 12:34
나는 비전공자이고 필기시험을 몇 번 보았지만 과목에서 과락이나 이번 3회차에
다시 준비하여
본 결과 
드디어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합격하였다...!

 

 

점수는 그닥 좋지는 않지만...우리의 목표는 합격이 목표다.

제대로 된 결과 발표를 확인 후 작성하려고 오늘을 기다렸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기준 !!!
5과목으로 구성되어있고 한 과목당 최소 40점은 넘어야 하고,
총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을 할 수 있다.

 

몇 번째인지는 말 못 하겠다... 몇 번 하였고 아슬아슬하게 자꾸 과락이 나는 것 때문에 불합격을 하였다..

개발자 취업에는 자격증보다 코딩 테스트와 포트폴리오가 중요하다고들 한다. 즉 실력이 더 중요하긴 한 것 같다.

그래도 굳이 연관 있는 자격증을 하나만 뽑자면 아마 정보처리기사가 일 거 같다.

 2020년 개정 이후부터는 꽤 어려운 시험으로 바뀌어 그리고 나도 비전공 출신이다.

개발과 전혀 관련 없는 학교를 졸업하여 조금이나마 내게 도움이 되고자 방통대를 결정하게 되었고, 

현재는 방통대 컴퓨터 과학과를 졸업했다.

나와 같은 비전공자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제목 그대로 비전공인 내가 정보처리기사 필기에 합격한 후기를 알려드리고자 한다. 

정확한 날짜 계산은 못하겠지만 딱 3주정도에 걸쳐 마무리했던 것 같다.

 

공부 방법
1. 이기적 문제집
2. CBT 전자 문제집
3. 흥달쌤 유튜브 시청

 

첫 번째로, 이기적 문제집

이기적 문제집을 보고 개념 설명을 읽고 난 후에 문제를 풀었다 그랬더니 속도도 너무 느리고 그리고 나 같은 경우에는 필기 준비를 처음에 할 때 개념을 한 번 정도 다 훓은 기억이 있어 다시 개념을 바로잡고 실기를 좀 편하게 보고자 빠삭하게 준비하려고 했었다.. 근데 속도가 너무 느려 이것들을 다 보기에는 실기는 커녕 필기 합격도 못할것같았다.

그래서 문제 위주로 일주일 정도 풀었다. 

 

 

두 번째로, CBT 전자 문제집 

Tip) 나왔던 문제가 또 나와 정확하게 개념을 알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정 외우기 힘든 것들은 앞 글자만 딴 단어로 외우길 바랍니다. ( ex:용단의피존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이제부터 본격적인 준비 였던것 같다. CBT문제집 전년도를 싹다 풀었다. 정말 5과목을 년도 회차 있는것을 다 풀었고

내이름으로 결과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 이것으로 틀린 문제만 집중적으로 봤다.

물론 해설도 그것만 보지않고 다 훓어봤다.

 

 

세 번째로, 흥달쌤 유튜브 시청

 

흥달쌤

흥달쌤과 함께하는 IT 채널입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관련된 강의 및 실무 노하우, 프로그래밍 언어(JAVA, C언어, Python) 특강 등이 진행됩니다. 앞으로 진행 예정인 동영상은 IT 관련된 이야기

www.youtube.com

 

마지막으로 해설을 보고도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을 흥달쌤 유튜브 시청을 하여 이해하도록 하였다. 회차별로 풀이를 해주신 부분도 있지만 없는 부분도 있어서 그 부분은 따로 시청자분들이 질문 주신 유튜브를 시청하거나 따로 공부를 해야 할 것 같다.

 

이번년도 3회차 필기는 끝낫다.

25년도 일정표를 잘 확인하시고 접수 하면 될 것 같다. 정처기 필기시험은 1년에 3번으로 나뉜다.

 

 

끝으로,

 

이번 3회차에 생각나는 것이 있다면 3과목과 4과목이 너무너무 어려웠었다...

4과목에서 과락이 날 줄 알았는데 다행?스럽게 생각 이상으로 점수가 잘 나와줬다..ㅠㅠ

4과목은 특히 프로그래밍 부분이라 흥달쌤 유튜브의 무료 프로그래밍 언어 특강을 들으셔도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어느 정도 안다고 자만하며 시작했는데, 다시 제대로 개념을 잡아야 할 것 같았다.

간혹 머리가 아주 좋으셔서 며칠 만에 합격도 하시는 분들도 봤다.

비전공자분들이시면 시간을 좀 써서 공부를 하셔야 할 것 같다. 
이 게시물을 보고 도움이 되어 많은 분들이 합격하면 좋겠다.
앞으로 이 글을 시작으로 실기 준비와 코테, 토이 프로젝트를 실행할 예정이다. 열심히 노력하자 이상~~~